본문 바로가기
PMB_15기/Daily

[코드스테이츠 PMB 15기_W8D2] 스크럼 가이드 요약하기

by 우진리 2022. 12. 6.

 

오늘은 '스크럼 가이드'를 읽고 요약정리를 해보려고 한다.

 

스크럼이란?

스크럼(Scrum)은 럭비에서 유래한 말로, 럭비에서 반칙이 있을 때 각 팀이 어깨 동무를 하고 머리를 마주댄 상태에서 서로 밀고나가려는 자세를 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스크럼(Scrum)은 팀이 협업하고 영향력이 큰 업무를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되는 애자일 프레임워크다. 

 

애자일(Agile)은 기민한, 민첩한 이라는 뜻으로 짧은 주기의 업무 사이클을 반복하여 시장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방법론이다. 스크럼은 애자일 방법론의 일부로, 애자일을 포괄적인 용어로 생각하면 된다. 

 

 

<스크럼 가이드>

https://scrumguides.org/docs/scrumguide/v2020/2020-Scrum-Guide-Korean.pdf


PM/PO로서 스크럼을 관리하는 과정에 필요한 업무 요소

 

프로덕트 오너/프로덕트 매니저스크럼 팀의 결과물인 프로덕트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책임을 갖는다. 이 업무를 수행하는 방법은 조직, 스크럼 팀, 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프로덕트 오너는 프로덕트 백로그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에도 책임이 있는데, 다음 사항들을 포함한다.

 

 

  • 프로덕트 목표를 세우고 명쾌하게 소통하는 것
  • 프로덕트 백로그 아이템을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 
  • 프로덕트 백로그를 반드시 투명하고 가시적이며 이해가 잘 되도록 만드는 것

 

프로덕트 오너는 위에 나온 일을 직접 하거나 혹은 다른 사람들에게 그 책임을 위임하는데, 어떤식으로 하든지 최종 책임은 프로덕트 오너가 갖는다. 프로덕트 오너가 성공적으로 일을 하기 위해서는 조직 전체가 반드시 그의 결정을 존중해야 한다.

 

프로덕트 오너가 내린 결정들은 프로덕트 백로그의 내용과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한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스프린트 리뷰 때에 점검 가능한 증가분을 통해서도 볼 수 있다. 

 

* 프로덕트 목표 : 스크럼 팀이 목표로 삼아 계획하는 프로덕트의 미래 상태. 스크럼 팀의 장기적인 목표
* 투명성 : 업무 프로세스는 반드시 가시적이어야 함. 산출물의 투명성이 낮은 경우에 하는 의사결정은 가치를 떨어뜨리고 리스크를 높일 수 있음
* 프로덕트 백로그 : 프로덕트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발생하는 업무를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한 목록. 개발자들은 프로덕트 백로그 아이템의 크기를 결정하는 데에 책임을 짐. PO는 개발자들이 절충안을 이해하고 선택하도록 도움 줄 수 있음
* 스크럼 팀 : 스크럼 조직의 기본이 되는 단위. 한 명의 스크럼 마스터, 프로덕트 오너, 개발자들로 구성. 수평적인 구조. 일반적으로 10명 이하의 인원
* 증가분 : 스크럼 팀이 스프린트 동안 완료한 업무로서 기존 프로덕트에 새로 더해지는 프로덕트의 새로운 부분을 의미

 


 

스프린트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점

 

스프린트는 전력질주라는 뜻으로, 스크럼에서는 한 싸이클로 본다.

보통 스프린트는 한달 또는 그보다 짧은 기간으로 설정한다. 새로운 스프린트는 직전 스프린트가 끝나면 바로 시작한다. 

 

스프린트 동안 아래의 스프린트 진행 단계를 포함하여 프로덕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업무를 수행한다. 

 

스프린트 진행 단계 상세 내용
1. 스프린트 계획 스프린트 목표와 백로그 계획
 2. 데일리 스크럼  매일 어제한 일, 오늘 할 일, 해결해야할 장애/문제 요소를 공유하는 회의 (10~15분 정도)
 3. 스프린트 리뷰  스프린트 마지막날 개발 내용을 고객, 제품 책임자, 이해관계자들 앞에서 시연하고 검토 (최대 4시간)
4. 스프린트 회고  스프린트 마지막 날 좋았던 점, 개선점 도출 및 더 나은 방향으로 개선 (최대 3시간) 

 

*PM/PO이 스프린트를 진행할 경우 맡게 되는 역할

  • 스프린트 목표를 구현할 수 있도록 스프린트 백로그 작성 및 정제, 작업 할당
  • 스프린트 동안 프로덕트 목표 달성을 위한 모든 필요 업무 수행
  • 스프린트 효력이 없다는 판단 시, 스프린트 취소 권한
  • 스프린트 과정에서 논의할 사항과 아이템 준비, 인력 초청 

 

*스프린트 기간 동안에 주의할 점 

  • 스프린트 목표 달성을 저해하는 변경을 해서는 안된다
  • 품질을 떨어뜨려서는 안된다
  • 필요한 수준까지 프로덕트 백로그를 정제해야 한다
  • 범위를 명확하게 하고 필요한 경우 프로덕트 오너와 다시 협상을 할 수 있다. 

 

스프린트를 진행하게 되면 한 달에 한 번은 프로덕트 목표 대비 진척을 점검하고 조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젝트 진척에 대한 예측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스프린트 기간을 너무 길게 잡으면, 스프린트 목표가 효력이 없어지거나 복잡도가 늘어나고 리스크가 높아질 수 있다. 더 짧은 스프린트 기간일수록 더 많은 학습 기회를 가질 수 있고, 짧은 기간 동안 수행하는 비용과 노력으로 리스크를 한정시킬 수 있다. 각 스프린트는 짧은 프로젝트와 같이 여겨질 수 있다. 

 


프로덕트 백로그 & 스프린트 백로그 

 

프로덕트 백로그는 프로덕트를 향상시키기 위한 업무를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한 목록이다. To-do list로 생각하면 쉽다. 

프로덕트 백로그 아이템은 스크럼 팀이 한 스프린트 안에 완료할 수 있는 것으로, 스프린트 계획 시 사용된다. 

 

스프린트 백로그는 스프린트 목표(WHY), 스프린트를 위해 선택된 프로덕트 백로그 아이템들의 모음(WHAT), 증가분을 전달하기 위한 실행할 수 있는 계획(HOW)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프린트 백로그는 개발자들에 의한 개발자들을 위한 계획이다. 매우 가시적이며, 개발자들이 스프린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스프린트 동안 완수하기로 계획한 업무를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그림이다.

 

따라서 스프린트 백로그는 스프린트 기간 동안 더 알게 된 것만큼 업데이트 된다. 스프린트 백로그는 데일리 스크럼 때 진척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세부 내용으로 작성되어야 한다. 

 


오늘 토론 세션에서, 클래스101이 애자일하게 일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들이 일을 하며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 중 하나는 속도였다. 시장에 빠르게 적응하고 반응하기 위해 선택한 애자일 방법으로, 누구나 알 만큼 가파르게 성장한 클래스101이 유연한 서비스임을 알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