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날씨도 많이 추워지고, 여전히 기승을 부리는 코로나19로 건강을 잘 챙겨야 할 때이다.
이 말을 하고 있는 나는 한 번 거하게 실패했다.
코로나는 아니었지만, 이건 코로나인가 싶을 정도로 몸이 아팠고 병원에 갈 힘이 없었다.
갈 수 있을 컨디션이 되었을 때 바로 병원에 다녀왔고, 몸이 회복되어 가는 중
친구가 닥터나우를 사용하고 있다며 앱 알림 캡쳐 화면을 보여주었다.. 모두 아프지 맙시다ㅠㅠ

그때 닥터나우를 알았더라면..
닥터나우를 알게 되고, 앱 사용 플로우도 간편하고 좋았던 기억이 있어 이번에는 닥터나우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번에는 프로덕트에서 사용자가 사용할 한 가지 기능의 플로우 차트를 그려보고, 그 기능의 UI, 클라이언트, 서버, DB가 어떻게 보이고 작동할지 예상해볼 것이다.
말은 거창하지만 이번 과제는 어디내놔도 부끄러울 예정이다.
그럼, W7D4까지 PM에게 필요한 개발 지식 커리큘럼을 배운 후 다시 한 번 회고할 목적으로 Before를 작성해보겠다.
닥터나우

대한민국 1등 비대면진료 앱
닥터나우는 국내 최초로 비대면 진료와 처방약 배달 서비스를 모두 제공하는 원격의료 플랫폼이다.
기존에 대한민국 내에서는 원격의료 자체가 합법이 아니었다. 하지만 현재 코로나19로 인해 보건복지부에서는 비대면 진료와 약 배송을 한시적으로 허용하고 있다고 한다.
*개정 감염병예방법에 따라 지난 2020년 2월 24일부터 전화 상담과 처방(비대면 진료)이 한시적으로 허용되었고, 닥터나우의 서비스가 11월에 이루어지게 되었다.
환자는 닥터나우 앱을 통해 본인이 원하는 병원, 혹은 의사를 골라 진료를 신청하면 10분 내로 전화, 또는 화상통화가 연결된다.
눈에 보이는 상처나 이상이 있다면 사진을 찍어 함께 첨부할 수 있다.
이렇게 비대면 진료를 받으면, 병원에서 환자에게 처방전을 문서 파일로 전송한다.
환자는 처방 받은 약을 수령할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데, 환자가 그 처방전을 가지고 직접 약국에 방문하는 방법과 제휴 약국에 처방전을 전송해 약을 퀵배송 또는 택배 배송으로 받는 방법이 있다.
현재 택배 배송은 무료로 제공되고 있으며, 약 배송은 닥터나우 측과 계약한 배송 드라이버를 통해 이뤄진다.
닥터나우의 플로우차트
앞서 닥터나우 서비스 이용 방법을 언급했는데,
다양한 비대면 진료 서비스 중 환자가 '내과'진료를 받는 과정만을 플로우 차트로 간단히 작성하면 아래와 같다.

닥터나우에서 '내과'진료를 받을 시 UI, 클라이언트, 서버, DB가 각각 어떻게 보이고 작동할지 예상해보기
1) 환자가 '내과'탭을 선택한 후 진료를 받기 위해 의사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과, 의사 선택 후에 나오는 화면은 이렇다.


이때 병원과 의사의 정보, 별점과 후기를 DB에 저장하여 환자에게 다음과 같은 화면을 제공할 것이다.
병원에는 여러 의사가 있을 수 있고, 담당하는 진료과도 여러가지일 수 있다.
따라서 관계형 DB를 사용하고,
한 의사를 기본키로 하여 병원이름, 진료과, 해당 진료 별점과 후기를 데이터로 저장하고 있지 않을까 한다.
2) 의사 선택 후 진료 신청서 작성 화면은 아래와 같다.



비대면 진료를 위해 환자가 진료 신청서를 작성할 때는 주민등록번호 입력, 증상 입력, 주소 입력, 결제 카드 등록, 약관 동의를 필수로 하고 있다. *사진 첨부는 선택사항이다.
따라서 환자에게 얻을 정보는 주민등록번호, 증상, 주소, 결제정보, 약관동의이다.
이때는 닥터나우에서 환자에게 얻은 정보를 병원에 전달하고, 병원에서 의사 진료 후 약국에 약 처방 정보를 전달하게 될 것이다.
해당 정보는 소중한 개인 정보이기 때문에 닥터나우가 잘 관리해야하는 정보일 것이다.
그리고 새로 추가된 듯한 내 건강정보로 더 정확한 진료받기!
- 건강정보는 직접 입력한 몸무게, 혈압, 혈당 정보와 일반 외래 진료 내역, 건강검진 내역을 말합니다.
- 위 항목에 동의하면 더 정확한 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해당 기능에서 환자가 직접 입력한 정보와 이전에 진료 내역을 불러와 진료 시 의사에게 함께 전달할 것이다.
이전 진료 내역은 환자가 동의할 경우 불러오는 정보가 될 것이고, 병원 진료 내역은 모든 병원에서 의사들이 조회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이 병원 진료 내역은 이미 의료협회(?)에서 빅데이터로 저장하고 있는 것 같다.
다만 의사가 항상 이전 진료 내역을 확인하지는 않을수도 있고 정확한 진료를 위한 참고용 정보로 제공하는 것 같다.
뇌피셜만이 가득한 이번 과제.. 찝찝하지만 W7D4까지 마친 후 이 Before과제를 봤을 때 부족한 부분을 많이 찾을 수 있길 바란다 ;)
'PMB_15기 > Da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드스테이츠 PMB 15기_W6D3,4] 지역별 전기차 충전소 데이터 분석하기 (0) | 2022.11.23 |
---|---|
[코드스테이츠 PMB 15기_W6D2] 금융의 모든 것, 토스 린 분석 (0) | 2022.11.22 |
[코드스테이츠 PMB 15기_W5D4] 여기어때 A/B테스트 설계해보기 (0) | 2022.11.17 |
[코드스테이츠 PMB 15기_W5D3] 여기어때, 부킹닷컴을 통해 보는 A/B테스트 (0) | 2022.11.17 |
[코드스테이츠 PMB 15기_W5D2] 세탁을 구독하는 런드리고, AARRR로 바라보기 (0) | 2022.11.15 |